사지,불상,탑,석등..

양양군]진전사지 부도와 삼층석탑

착희 2009. 12. 4. 11:41

 강원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산1

 

진전사지부도(陳田寺址浮屠)

보물  제439호

 

산길을 따라 계곡을 넘어 들어가니

호수변 산위에 부도가 있다.

걸어가는 솔숲길도 편안하고

그곳에서 만난 부도는 솔숲과 어우러져 편안해 보였다.

 

 

 

 

 

멀리 동해바다가 내다보이는 진전사터 안의 작은 언덕 위에 서 있는 탑으로, 진전사를 창건한 도의선사의 묘탑으로 추정된다. 도의는 선덕왕 5년(784)에 당에서 선종을 이어받고 821년에 귀국하여 설법을 시작하였으나, 당시는 교종만을 중요시하던 때라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이 절로 들어와 40년 동안 수도하다가 입적하였다.

이 부도는 일반적인 다른 부도와는 달리 8각형의 탑신(塔身)을 하고 있으면서도, 그 아래부분이 석탑에서와 같은 2단의 4각 기단(基壇)을 하고 있어 보는 이의 호기심을 자아낸다.

2단으로 이루어진 기단은 각 면마다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 모양을 새기고, 그 위로 탑신을 괴기 위한 8각의 돌을 두었는데, 옆면에는 연꽃을 조각하여 둘렀다. 8각의 기와집 모양을 하고 있는 탑신은 몸돌의 한쪽 면에만 문짝 모양의 조각을 하였을 뿐 다른 장식은 하지 않았다. 지붕돌은 밑면이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낙수면은 서서히 내려오다 끝에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위로 살짝 들려 있다.

석탑을 보고 있는 듯한 기단의 구조는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모습이다. 도의선사의 묘탑으로 볼 때 우리나라 석조부도의 첫 출발점이 되며, 세워진 시기는 9세기 중반쯤이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100-2

 

진전사지삼층석탑(陳田寺址三層石塔)

국보 제122호

 

역시 국보다.

세심하게 조각되어 있는 삼층석탑

깊은산속에 숨어 있는 보물을 만나 행복한 기분을 들게한다..

오랜세월 그 자리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발걸음에 감동을 선물했겠지.

난 그 감동도 잠시

이 사진들이 아니라면

어느 부분 하나라도 기억에 남아 있기는 할까...

 

 

 

 

 

 

 

 

 

 

 

 

 

 

진전사의 옛터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진전사는 통일신라시대에 도의국사가 창건한 절이라 전하는데, 터 주변에서 ‘진전(陳田)’이라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절의 이름이 밝혀졌다.

탑은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은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날아갈 듯한 옷을 입은 천인상(天人像)이 있으며, 위층 기단에는 구름위에 앉아 무기를 들고 있는 웅건한 모습의 8부신중(八部神衆)이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는데, 1층 몸돌에는 각기 다양한 모습의 불상 조각들이 있다. 지붕돌은 처마의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 올려져 있어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3층 지붕돌 꼭대기에는 받침돌만 남아있을 뿐 머리장식은 모두 없어졌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 있으면서 지붕돌 네 귀퉁이의 치켜올림이 경쾌한 아름다움을 더해주는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석탑 가운데 하나이다. 기단에 새겨진 아름다운 조각과 1층 몸돌의 세련된

'사지,불상,탑,석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동군]신항리 삼존불입상  (0) 2009.12.17
고령군]지산동 당간지주  (0) 2009.12.13
속초시]향성사지 삼층석탑  (0) 2009.11.27
강릉시]신복사지  (0) 2009.11.27
강릉시]굴산사지  (0) 2009.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