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지,불상,탑,석등..

숲실마을과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

착희 2008. 4. 9. 10:07

숲실마을!!

이름만으로도 포근하고 아늑한 고향을 그리게 한다.

좁은길 따라 들어가면서 만나는

산수유들이 마음은 화사하게 입가엔 미소를 머금게 한다.

예전엔 조용했던 이 마을에도

사람들의 잦은 발길탓인지 잔치집처럼 수선스러워 보인다.

마을어귀에서 발길을 돌리며

마음이 또 심란해 진다.

자연스러움을... 자연 그대로를.... 사랑하고 싶고 보고싶은데........

 

 

 

 빙계계곡도 예전과 달리 단장을 많이 했다.

왜 나의 눈엔 단장한 모습이 자연풍광을 망치는것 처럼 보이는지...

구례 상위마을의 그 고풍스러웠던 옛다리도

나무로 멋드러지게 만들어 놓았다.

그때 밀려왔던 짜증처럼

이곳도 씁쓸하다.

 

돌담길 따라 걸어가면

빙혈과 빙산사지 오층석탑이 나온다.

빙혈에 들어서니

어두컴컴하다. 무섭다.

입구의 석조물이 사리탑에 들어가는 느낌이었는데

들어서니 컴컴한 좁은굴이 더 마음을 차갑게 만든다.

빙혈의 뜻은 결코 그런뜻이 아닐진데...

 현호색이 웃는다.

그래서 나도 웃었다...

 (펌)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보물  제327호

경상북도의 8군데 아름다운 경치 가운데 하나인 보현산 줄기 빙산 아래에 자리하고 있다.

 

돌을 벽돌 크기로 다듬어 쌓은 모전석탑으로 의성탑리오층석탑(국보 제77호)을 모방한 것이다.

 

탑의 형태는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탑의 토대가 되는 바닥돌은 16개의 돌로 이루어졌다.

 

기단의 가운뎃돌은 기둥과 면을 이루는 석재를 딴 돌로 하여 15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기단의 맨윗돌은 8개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로 탑신을 받치기 위해 괴임을 높게 얹었다.

 

탑신부를 보면 1층 몸돌은 네 모서리에 딴 돌로 모서리기둥을 세우고

 

정면에 네모진 공간을 마련해 놓았는데 이 공간은 불상 등을 모셔두는 용도로 쓰였다.

 

2층 이상부터 몸돌은 그 높이가 1층에 비해 반 이상 줄었으며,

 

5개의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각 4단씩이다. 지붕돌의 경사진 면은 각 5단의 층으로 이루어졌다.

정상의 머리장식부분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만 남아 있다.

탑의 조성시기는 통일신라 후기∼고려 전기 사이로 추정된다.

 

의성탑리오층석탑에 비하여 격이 떨어지나 모전석탑으로서 아름다운 작품이다.

이 탑은 신라말< 新羅末 > 내지 고려초< 高麗初 >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모전석탑< 模塼石塔 >이다. 각층의 크기가 다른 석재로 구성되었는데 의성< 義城 > 탑리오층석탑< 塔里五層石塔 >(국보 제77호)을 모작< 模作 >한 듯하며, 다소 시대가 뒤떨어지기는 하나 거작< 巨作 >이며 우수한 작품이다. 탑 전체의 파손상태가 심하여 1973년 완전히 해체복원하였는데, 그때에 3층 옥개석< 屋蓋石 >의 석함< 石函 > 속에서 금동사리장치< 金銅舍利裝置 >가 발견되어 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에 보존되어 있다. 높이는 8.15m이며 지대석< 地臺石 > 너비는 4.06m이다.

 

 빙계계곡의 바위들

 

 

 

 

 

'사지,불상,탑,석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남산리 삼층석탑  (0) 2008.08.03
황매산 영암사지  (0) 2008.07.09
경주 남산 불곡 석불좌상(감실불상) |  (0) 2008.01.29
월출산 천황사지  (0) 2007.12.09
월출산 월남사지  (0) 2007.12.09